본문 바로가기

여행 경상남도

(304)
원동마을 매화축제 원동면 이야기 양산시 원동면은 과거 여행객이 찾는 교통의 중심지였습니다 기차가 개통되면서 원동역을 통해 경남 일대에 유명한 오일장이 성황리에 운영되었고 배내골로 가려는 관광객들로 인해 거리마다 사람으로 북적이었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산간 오지라 주민들이 정말 어렵게 살던 원동면이 교통이 발달하면서 황금기를 구가하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명성은 아이러니하게도 교통의 발달로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원동역을 거치지 않고도 배내골을 방문할 수 있게 됐으며 원동역과 매화 같은 지역자원을 수동적으로 활용하면서 관광객의 발걸음이 뜸해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역의 좋은 관광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주민들의 삶이 더 나아지도록 변하려고 다양한 사업을 제안하고 공모해서 실행을 통해 지역 주민이 다양한 경험을 하고 그 과정..
김해 연지공원 공원 곳곳에 호수가 있는 연지공원은 김해시의 대표적 도심 공원이다. 공원 호수 가까이 맞닿은 산책로는 사계절 변화하는 꽃을 볼 수 있어 공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즐거운 볼거리를 제공해 준다. 공원을 걷기 전, 해충이 걱정된다면 입구에서 주차장으로 가는 길에 해충 퇴치 기피제 분사기가 구비되어 있으니 이용해 보는 것도 좋다. 연지공원 호수에는 연꽃, 어리연 등이 심겨 있어 계절에 따라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제공한다. 연지공원의 하이라이트는 야간에 볼 수 있는 분수쇼이다. 공원 호수에 레이저와 조명, 음악을 이용하여 분수쇼를 연출하는 데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곳이다 연지공원엔 튜울립이 많이 심어져 있어 꽃 필때 가면 참 예쁜 튜울립 꽃을 볼수 있다 호수 주위로 단..
와룡매 만나고 온 김해 건설공고 삼년만에 김해 건설공고 와룡매 만나고 왔는데 오래된 '고매(古梅) 자태가 크게 성장하면 엎드린 용의 모습을 하기 때문에 "와룡매"라고 부른다. 아직은 꽃이 활짝 피지는 않았지만 나쁘지는 않았다 진사님들 포인트가 되는 나무에 옹기종기 모여있다 다양한 포즈로 찍고 있는 진사님들 대포같은 카메라 들고 쪼그리고 앉아 하늘을 향해 쏜다 매화향기로 가득한 곳 그냥 있어도 힐링이 되지만 내가 찍고자 하는 곳을 향해 찰칵찰칵 하는 셔터소리가 또 기가 막히다 그 소리에 사진을 찍는게 아닐까 ? ^^ 홍매는 필 생각이 없는지 봉우리도 잔잔하게 맺어있다 오늘 날씨가 포근하여 꽃몽우리 곧 터지기 시작할것 같다 백매는 피어 향기가 매혹적이다 분홍매화도 피기 시작을 하였고 만첩분홍매화가 송이송이 마다 어찌나 이쁘던지 다 모셔오고..
서운암 16만도자대장경전 통도사는 신라 제 27대 선덕여왕 15년 (서기 646년)에 자장율사(慈藏律師)에 의해서 창건되었고 석가모니 부처님의 정골(頂骨), 지절(指節), 치아사리(齒牙舍利), 그리고 친히 입으셨던 금란가사(金襴袈裟)가 봉안되어 있어, 불지종가(佛之宗家)이자, 국지대찰(國之大刹)의 사격(寺格)을 지닌 사찰입니다. 서운암은 이러한 유서 깊은 사찰의 한 암자이다. 성파(性坡) 큰스님은 일찍이 서운암을 중창하고, 도예를 하시면서 85년부터 5년 동안 3,000불상을 흙으로 구워내 도자삼천불(陶磁三千佛)을 모셨고, 십육만도자대장경(十六萬陶磁大藏經) 대불사(大佛事)를 91년 6월에 시작하여, 2000년 9월에 완성하였으며, 생약재를 첨가한 전통 약된장과 간장 개발에 성공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 중이고, 감단지를 조성하여..
통도사 자장매 꽃은 바람에 흔들리면서 핀다 마음에 담아 두지마라 흐르는 것은 흘러가게 놔둬라 바람도 담아두면 나를 흔들때가 있고 햇살도 담아두면 마음을 새까맣게 태울때가 있다 아무리 영롱한 이슬도 마음에 담으면 눈물이 되고 아무리 이쁜 사랑도 지나고 나면 상처가 되니 그냥 흘러가게 놔둬라 마음에 가두지마라 출렁이는 것은 반짝이면서 흐르게 놔둬라 물도 가두면 넘칠때가 있고 빗물도 가두면 소리내어 넘칠때가 있다 아무리 좋은 노래도 혼자서 부르면 눈물이 되고 아무리 향기나는 꽃밭도 시들고 나면 아픔이 되니 출렁이면서 피게 놔둬라 통도사 자장매 가지치기를 동그랗게 해서 작품사진 찍을만한 포인트가 없다고 하면서 .... 공감한다 자장매 봄마중 하려고 많은 사람들이 왔다 봄비가 내린다 매화 꽃향기 실어 바닷바람 타고 날아와 봄기..
진아해수욕장 명선도 울산 진하해수욕장은 백사장 면적 9만 6,000㎡, 길이 1km, 너비 300m로 울산광역시에서 남쪽으로 21km 지점에 있다. 수심이 얕으며 백사장이 넓고 바닷물이 맑아 피서지로 적합하다. 회야강과 만나는 곳에서는 담수욕도 즐길 수 있고 간만의 차가 커 썰물 때면 앞바다에 있는 명선도까지 걸어갈 수 있다. 1974년 해수욕장으로 개장한 이래 매년 7월 8일부터 8월 22일까지 개장한다. 고운 모래와 백사장 뒤의 푸른 곰솔숲이 조화를 이루며, 백사장이 넓고 물이 깨끗해 사진작가와 해양스포츠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늘 붐빈다. 해수욕장과 대송등대 주변은 사계절 내내 낚시꾼들이 끊이지 않는다. 매년 8월 초에는 바다여왕 선발대회가 열린다. 주변에 서생포왜성·간절곶등대와 2개의 해중암으로 이루어진 이덕도, 소나무..
일출을 가장 먼저 볼수 있는 간절곶 간절곶이 정말 많이 좋아졌다 처음갔으때 소망우체통과 모자상 간절곶 표지석 그리고 등대만 있었는데 지금 와서보니 공원화 되어 주위에 잔디밭도 넓게 조성이 되어있고 빛과 바람의 정원도 풍차와 함께 그 옆으로 드라마세트장이 있었지만 너무 흉물스러웠다 녹이슬어 누렇게 되어 있어서 ... 철거를 하던가 아님 리모델링해서 레스토랑, 카페로 사용하던가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바다를 끼고 가는 해안로 산책길도 좋았고 많이 좋아져서 힐링하고 왔다. ^^ 간절곶 해가 떠야 한반도에 아침이 온다 가장 먼저 해 뜨는 곳. 올해 2023 계묘년 검은토끼 해라고 한다. 카리브 레스토랑 오늘 하이얀 생일이라서 이곳에 식사하러 왔는데 ... 가는날이 장날이라고 쉬는 날이었다 6년전 이곳에서 돈까스를 먹었던적 있다 분위기 좋고 ..
간절곶 빛과 바람의 정원 울산 간절곶 빛과 바람의 정원이 예쁘다고 하여 다녀왔다 아담하니 작은 빛공원은 정말 예뻤다 충분히 마음을 들뜨게 할만 했다 아이들 신나서 뛰어다니는것 보니 나도 동심으로 돌아간듯 좋았고 바다가 있어 사진이 더 예쁘게 나올수 있는 조건이 갖춰져 있었다 2023년 계묘년 검은토끼 해 라고 한다 검은토끼가 예쁘게 서서 환영 해 주니 고맙고, ^^ 매화꽃 장식이 화사하다 ^^ 마치 봄이 온듯 간절곶 바다가 매화나무 넘어로 보이고 풍차, 하트터널, 매화나무, 앙증 맞은 버섯, 토끼인형 .... ^^ 울주문화재단이 2023년 1월 10일까지 간절곶 일원에서 2022 야간경관 전시 을 진행한다. 올해 전시는 2023 계묘년 토끼해를 맞아 영국의 동화작가 루이스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모티프로 했다. 작년 첫..
통도사 백련암 은행나무와 무환자나무 곱게 물들다 서운암 옥련암 백련암 사명암 4암자는 가까이 있어서 산길로 질러가게 되면 호젓한 길을 걸을 수 있다 단풍숲 길을 걸어 가는데 이렇게 행복해도 되나 싶을 정도로 환상적이었다 백련암 주위 단풍과 은행나무잎이 절정을 맞은듯 적기에 잘 맞추어 온것 같다 은행나무잎이 노랗게 물들어 운치를 더해주고 무환자나무 잎이 노랗게 물들어 선명하게 눈에 들어온다 무환자나무 겨울에 왔을때 죽은나무 인줄 알았었는데 ... 가지가 없고 나무 기둥만 있어서 그렇게 보였었다 이번에 와서 노랗게 물든 것을 보고 우와 ~ 이렇게 예쁜 나무였었나? 귀하게 보여 더 좋았다 무환자나무 = 근심과 걱정이 없다는 의미를 가진 나무라고 한다. 백련암 은행나무 가장 예쁘게 물들었다 날씨가 흐려서 맑고 투명하지는 않지만 너무 예뻤다 백련암 무환자나무 ..
통도사 암자 순례길 가을단풍 통도사 암자 순례길에 나선 17암자중 취운암, 서운암, 옥련암, 백련암을 둘러보기로 한다 통도사 산문 주차장에 주차하고 무풍한송로 를 지나 통도사 들러 점심공양까지 하고 나와서 산길을 돌아 취운암을 지나는데 단풍이 붉다붉다 이렇게 붉은것 처음 본다 계곡엔 낙엽이 쌓여 운치를 더해주고 암자가 가깝게 있다보니 4암자를 둘러 본다고 해도 그리 힘들지는 않다 아름다운 산길을 호젖하게 걷다보면 심신이 녹아내리듯 편안하고 차분해지는 마음이다 천천히 걸어가며 자연과 하나하나 눈맞춤 하면서 행복해 ~ 라고 외치고 싶다. 고즈넉하면서 호젖한 길을 걸어가며 곱게 물든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하면서 최고에 호사를 누리고 있는 요즘이다 한 생을 살면서 가장 좋은 때가 60~75세라는 말에 공감하면서 맘껏 누리려고 한다. 취운암 ..
통도사 무풍한송로 길을 걷다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영축산(靈鷲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 佛寶·法寶·僧寶로 일컬이지는 세 사찰] 가운데 하나인 불보(佛寶)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이다. 2018년 1월에 양산시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 6월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무풍한송로 소나무들이 춤추듯 구불거리는 무풍한송로를 따라 가다보면 부처님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숲 소나무가 아름다운 곳 '무풍한송로' 물가에 단풍도 곱게 물들었다 이곳을 참 좋아한다 일부러 걸으려고 산문주차장에 주차하고 걸어서 통도사 들렀다가 ..
밀양 남명리 얼음골 결빙지와 가마불폭포 천연기념물 제224호 밀양 남명리에 위치한 얼음골은 한여름에 얼음이 어는 신비한 계곡으로, 천황산 북쪽 중턱, 해발 600~750m 지점에 1만 ㎡ 규모로 형성된 너덜지대이다. 얼음골에서는 바위틈으로 에어컨을 틀어 놓은 것처럼 차가운 자연 바람이 나온다. 더위가 심할수록 결빙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는데, 3~4월이 되면 바위틈에 얼음이 생기기 시작해서 삼복더위 때 절정을 이룬다. 겨울에는 얼음이 생겼던 바위 틈에서 따뜻한 바람이 나와 계곡물이 얼지 않는다. 이처럼 여름에도 얼음이 어는 남명리 얼음골은 두드리면 소리가 나는 만어산 경석. 땀 흘리는 표충비와 함께 밀양의 3대신비로 불린다. 호박소. 오천평바위 쇠점골 트래킹하고얼음골 결빙지로 왔다 이곳에도 단풍이 어찌나 이쁘던지 사진이 많다 만산홍엽을 이루고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