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전암 (9) 썸네일형 리스트형 얼레지 야생화 천성산 노전암 상리천계곡에는 현호색이 가장 싱싱하게 밭을 이루고 피어있는 반면얼레지는 꽃이 지고 시들어 있었다그중 가장 상태가 좋은것 골라 담아왔는데 개체수가 많지 않았다 야생화 하면 보통은 ‘수수함’이나 ‘소박함’을 연상하게 되는데, 그런 수식어와는 좀 거리가 먼 화려한 꽃이 있다. 꽃잎을 뒤로 맘껏 젖힌 모양새가 기품이 넘치는 여인처럼 보이는 얼레지가 그것이다. 자생지에서 보면 대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아 계곡이나 능선 전체가 장관을 이룬다. 대표적인 고산성 식물 중의 하나로 추위에는 강하지만 평야지 고온에는 맥을 못춘다. 꽃이 크고 모양이 아름다워 분화용으로 이용 가능하며, 여름이 그늘지고 시원한 곳에서 화단용으로 일품이다. 산지에서는 식용이나 약용으로 쓰인다. 해가 갈수록 땅속 비.. 괴불주머니 야생화 천성산 노전암 상리천에서 담은 야생화괴불주머니 양귀비목 현호색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한국과 일본 등의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현호색속 식물 중 둥그런 뿌리가 달리지 않고 땅속으로 곧추 뻗는 뿌리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키는 10~50㎝ 정도이고 밑에서 많은 가지로 나누어지며, 잎은 날개깃처럼 한두 번 갈라진 겹잎이다. 꽃은 4~6월에 노란색으로 총상꽃차례로 무리져 핀다. 산괴불주머니와 거의 비슷한 식물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동네 어귀나 산기슭에서 흔히 자라고 있다. 현호색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학명은 Corydalis pallida이다. 꽃 모양이 전통 노리개인 괴불주머니와 유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속명인 코리달리스(Corydalis)는 종달새를 뜻하는 그리스어 korydalis에서.. 현호색 야생화 천성산 노전암 상리천계곡 야생화 출사 다녀왔는데, 야생화 천국이었다현호색이 밭을 이루고 피었는데 너무 예뻐서 환호성을 질렀다.한꺼번에 만개를 하였나 보다종달새들이 합창 하는듯 부리를 치켜들고, 입을 쩍쩍 벌리며 노래하는것 처럼 보였다. 현호색의 학명 중 속명인 Corydalis는 희랍어의 종달새에서 유래한다. 꽃의 생김이 뒤로 길게 누운 모양을 하고 있는데, 약간 굽어 있는 거(距)와 함께 새가 합창하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대개 군락을 이루고 있어 숲속에서 펼쳐지는 대규모 합창단의 향연을 보는 듯 하다. 꽃 모양이 앙증맞은 새를 닮아 원예적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여름철 더위 문제만 해결해 줄 수 있다면 정원 화단용, 특히 암석정원의 바위틈 같은 곳에 심으면 좋다. 잘 관리하면 아파트 베란다.. 내원사 노전암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여 다녀오게된 내원사 노전암큰절은 어딜가나 다 몰려오는 차량들로 정체되고 내원사도 마찬가지로 들어가는데 차량이 정체되어 산문에서 교통정리 하시는 분이 나오는 차량만큼 들여 보내주고 있었다내원사 계곡은 영남의 금강산이라고 할만큼 아름답고 맑은 물이 흐르고 있었다올봄에는 비가 자주 오다보니 물이 많아서 더 보기 좋았고계곡을 청소한듯 깨끗한 맑은 물이 흐르고 초록의 푸르름이 한층 더 싱그럽게 하고 있었다숲속 1주차장에 주차하고 걸어서 들어갔다계곡을 따라 소나무 숲 사이로 연등을 달아 놓아 알록달록 보기 좋았고내원사 도착하여 등달고 법당 부처님께 인사올리고 나와서 점심 공양을 하였다연등만들기 체험도 있고, 비즈로 팔지 만들기도 하고, 음료가 천원 이천원 팝콘도 이천원커피콩빵도 이천원. 우리.. 천성산 상리천 야생화 출사 짚북재 산행 천성산 내원사 일원 千聖山 內院寺 일원은 1985년 11월 경상남도 지정 기념물 제81호로 지정되었으며 수려한 산수와 6km에 달하는 아름다운 계곡은 경남의 소금강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천성산은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이며 국내에서는 드물게 21개의 고산습지를 포함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이다. 원래 원적산이었으나 원효성사께서 千名 대중을 성불하게 하였다 하여 천성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내원사는 1300여년전 신라 제27대 선덕여왕(서기 646년) 때 원효성사께서 창건하신 절이다. 보물 제1734호인 내원사 청동금고를 비롯하여 유형문화재 제406호 아미타삼존 탱화와 문화재자료 제342호 내원사 석조보살좌상, 지방문화재 제119호인 안적암 대웅전 등 다수의 문화재가 있다. 동국제일선원으로 불리며 선찰로서 명성.. 상리천 꿩의바람꽃 천성산 노전암 상리천에 가면 야생화가 지천으로 피어있다 실물은 처음 보는 바람꽃 무더기로 피어있는것 보고 너무 예뻤고 한포기씩 피어 있어도 눈에 확 들어온다 아직은 겨울의 회색빛속에 하얗게 핀 바람꽃은 청초함이 그대로 담겨져 있었다. 바람꽃 꽃말 : 당신만이 볼 수 있어요, 덧없는 사랑 ‘바람의 딸’이라는 이름과 걸맞게 바람과 가까운 높은 곳에 보금자리가 있다. 우리나라 바람꽃 종류는 대부분 봄에 피지만 오늘의 바람꽃만은 유일하게 여름에 꽃을 피운다. 그러니 이 봄이 바람꽃에게는 새로운 잉태를 위한 준비기간일 듯 싶다. 사는 곳이 바람이 많이 불고 그늘이 지는 높은 지대이므로 여름에도 서늘한 조건을 갖추는 곳이면 화단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암석원이나 시원한 낙엽수 밑에 식재하면 좋을 듯.. 천성산 한뜸계곡에서 봄을 만나고 왔다 천성산 상리천계곡을 지나 한뜸계곡으로 접어들면 야생화 천국이 펼쳐진다 3월초 중에 갔어야 하는데 말에 갔더니 늦었다 일찍피는 야생화는 보지 못했지만 지금 피는 야생화는 볼수 있었다 꽃보다 더 예쁘게 돋아나는 나뭇잎들도 싱그럽고 봄색이 완연한 상리천 계곡 풍경입니다 오전 시간이라 햇살받은 나뭇잎이 다양한 색으로 나타난다 파스텔톤의 부드러운 봄색 ...........이쁘다 ^^ 토요일밤 비가 많이 와서 계곡물은 시원하게 흐르고, 깨끗하고 너무 좋았어. 노랑인지 연두인지 요래 이쁘다 언제와도 좋은곳 사계절 다 좋다 지금의 연두색이 얼마나 이쁜가 말이다 걸어가는 걸음도 가뿐하고 쇠물푸레나무 꽃봉우리가 맞을것 같다 가는내내 너무 예뻐서 자꾸만 찍게된다 계곡물 소리도 시원하고 복사꽃이 피어 꽃대궐이고 벗꽃은 눈이 .. 한듬계곡 트래킹 내원사 노전암 가는길 한듬계곡이 달라졌다 예전의 자연 생태계가 사라졌어 계곡에 갈대가 무성하고 주위의 나무들이 많았었는데 그게다 없어지고 계곡이 너무 시원해졌다 이유가 뭘까 ? 비가 많이와서 싹 쓸어간걸까? 알수는 없지만 그늘이 없어서 자외선지수는 더 높아지고 서정적인 .. 내원사 노전암에서 담은 꽃사진 내원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천성산 중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송고승전 宋高僧傳〉에 기록된 창건설화에 의하면 673년(문무왕 13) 원효가 당나라 태화사에 모인 1,000명의 대중이 산사태로 매몰될 것을 미리 알고 '효척판구중'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