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부산

해운대 달맞이축제 '지와밟기'

 

 

지와밟기

추석(秋夕)이나 정월대보름날 밤에 여자들이 등을 굽혀 지와(기와) 모양을 만들고 그 위를 밟아가는 민속놀이. 강강술래의 부수놀이의 하나로서, 전라도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지와밟기라 하여 강강술래를 하는 도중에 놀며, 전북 남원에서는 지네밟기라고 한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독립된 놀이로서 지애밟기, 재밟기, 기와밟기, 놋다리밟기, 인다리, 동교라고 한다. 이 유사놀이들의 선후 관계나 발생 시기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꽤 오래된 것으로 짐작된다.

 

 

 

여자들이 줄지어 늘어서 앞 사람의 허리를 잡고 등을 굽혀 엎드려 길을 만들면 그 위를 밟고 가면서 노래를 부른다. 놀이 형태는 유사하지만 놀이의 의미는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데, 사람들이 엎드린 모양이 기왓장을 엎어 놓은 것과 같다고 하여 기와라 하기도 하고, 지네를 닮았다고 하여 지네라 부르기도 하며, 물을 건너는 다리로 사용했다는 공민왕의 전설에 의거하여 다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농경사회에서 물을 관장하는 용신(龍神) 곧 용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지와밟기 놀이에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밟는 사람에 대한 의미 부여도 여러 가지이다. 전라도의 지와밟기에서는 놀이꾼 중에 한 사람이 올라가며 큰 의미 부여는 없다. 반면 남원의 지네밟기에서는 마을의 아이들에게 밟게 하고 지네밟기 자체가 밟는 아이의 무병장수와 출세를 의미한다. 경북 군위에서는 올라간 놀이꾼을 기와장이라고 부른다. 한편 놋다리밟기에서 다리를 밟는 이는 소녀들이며, 이들은 공주라고 부른다. 밟기를 할 경우 강강술래기와밟기놋다리밟기는 양쪽에서 손을 잡아주지만, 군위의 지애밟기와 남원의 지네밟기는 막대기를 이용한다.

 

 

 

 

놀이의 전반적인 구성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있다. 전북 남원과 경북 군위처럼 농악대와 함께 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경북 안동이나 의성과 같이 놀이꾼들만 행진하는 경우도 있다. 전라도의 강강술래와 경북 의성의 경우처럼 강강술래나 부수 놀이들과 함께 노는가 하면, 놋다리밟기처럼 기와밟기만 독립적으로 노는 경우도 있다. 또 전라도와 전북 남원, 경북 안동의 놋다리밟기처럼 기와를 밟는 것으로 그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경북 군위와 의성에서처럼 두 팀을 나누어 서로 힘을 겨루어 승부를 내는 곳도 있다. 강강술래에서는 한번 굽힌 상태를 밟아 지나가면 끝이 나지만 경상도에서는 뒤에 섰던 사람이 다시 앞으로 가서 길을 만들어 준다.

 

 

 

 

전라도의 지와밟기추석, 정월대보름, 백중, 유두와 같은 명절날 밤에 강강술래와 함께 논다. 여성들이 앞 사람의 허리를 잡고 등을 굽혀 그 위를 한 사람이 걸어가는 놀이이다. “어딧골 지완가, 전라도 지왈세, 몇닷냥 줬는가, 스물닷냥 줬네” 또는 “어딧골 지완가, 장자장자골 지와세”와 같은 가사를 노래한다. 경북 군위군 의흥면의 지애밟기기와밟기라고도 하며, 음력 8월 16일 밤에 논다. 아랫마을과 윗마을의 여인들이 노래를 부르며 각각 자기 진지로 집결하여 일렬로 등을 굽히면 그 위를 기와장이가 막대기를 잡고 양편의 부축을 받으면서 밟는다. 양편의 기와장이가 대결하여 상대 기와장이를 땅에 떨어뜨리거나 막대기를 빼앗으면 이긴다.
.

 

 

 

전북 남원에도 비슷한 놀이가 있는데 이는 지네밟기라고 한다. 칠월 백중날 수확을 앞둔 농민들이 풍년을 기원하고 아이의 무병과 출세, 마을의 안녕과 주민 단합을 목적으로 삼동굿놀이와 지네밟기를 한다. 당산제를 지내고 우물굿을 친 후 마을의 공터로 모여 여자들이 등을 굽혀 길을 만들면 그 위에 마을의 어린 아이들을 올려 밟도록 한다. 아이를 지네에 올리기 전에 태어나는 과정을 모의하고, 성장하여 입신출세하는 것을 의미하는 지네밟기에서는 아이들을 대감이나 장군처럼 꾸민다. 그 밖에 안동의 놋다리밟기와 경북 의성의 기와밟기가 있으며 이들은 정월대보름날에 노는 놀이로 알려져 있다

 

 

 

 

 

 

 

 

 

 

 

 

 

▼선비춤

 

 

 

 

 

 

 

 

 

 

 

 

 

 

 

 

 

 

 

 

 

 

 

 

 

 

 

 

 

▼ 마지막 풍물패와 함께 신명나는 한마당이 펼쳐진다

강강술래팀과 풍물패와 시민들이 함께 어울려 마지막 시간을 흥겹게 달구었다.

 

 

 

 

 

 

 

 

 

 

 

 

 

가끔은 이렇게 우리의 문화를 즐기면서

타이트한 마음을 풀어놓는것도 즐겁게 사는 한 방법이 될수 있다.

2016년 정월 대보름날에 달집태우기와 함께 본 민속놀이 공연이 정말 신명나게 좋았다. 

두시간 동안의 즐거움 ...... 행복함 ........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