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찰 경상북도

고운사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구계리) 등운산 자락에 고즈넉하니 자리잡고 있었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로 바뀌게 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이다.

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영험성지이다. 옛부터 죽어서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고운사에 다녀왔느냐고 물었다고

하는데 지장보살님의 원만자비하신 풍모는 물론이거니와 명부십대왕의 상호와 복장도 다른 사찰에서는 보기 힘든 위엄과 정교함을 자랑한다.

일제시대에는 조선불교 31총본산의 하나였고 지금은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사찰들을

관장하고 있다. 사세가 번창했을 당시에는 366간의 건물에 200여 대중이 상주했던 대도량이 해방이후 쇄락하여 많은 사찰재산이 망실되고

지금은 이십여명 대중이 상주하는 교구본사로는 작은 규모의 사찰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10여년전부터 중창불사의 뜨거운 원력으로 주변을 정리하고 낡은 건물들을 수리 및 단청하여 지금은 위풍당당한 본산의 위상과

소박하고 절제된 수행지로서의 이미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정도 규모 이상의 고찰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 고운사는 민가로부터 3km 정도 떨어져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자랑하며

일주문에 이르는 솔밭 사이 비포장길은 부처님께 진실된 마음으로 다소곳이 다가서는 불자들의 마음처럼 포근하고 정감넘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일주문

                  사찰의 입구로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이다.

                  가장 아름답고 한국적인 일주문을 꼽으라면 고운사의 일주문을 추천하는 이들이 많다.

 

 

 

 

천왕문

                     일주문 다음에 통과하는 문으로 동서남북을 관장하며 불법을 수호하는 지국천왕ㆍ증장천왕ㆍ광목천왕ㆍ다문천왕이 조성되어 있다. 

 

 

 

 

 

대웅보전

              석가모니불과 문수보살ㆍ보현보살을 모시고 있는 고운사의 큰법당이며 1992년도에 완공된 50평 규모의 전각이다.  

              대중의 조석예불과 사시불공 등 모든 의식과 법화가 이루어지는 고운사 신앙의 중심지이다. 법당안에는 신중단과 조사진영을 모신조사단,

              선망조상의 위패를 모시는 영단이 있다.  

 

 

 

 

여전히 비는 내리고 ...

 

 

 

 

 

 

 

 

 

 

 

약사전

                  약사전에는 약사여래부처님을 주불로 모신다.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석불(보물 제246호)은 균형잡힌 몸매와 인자한 상호,

                  비교적 완벽한 보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운사의 모든 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 되었다.

 

 

 

 

약사전 석불 (보물 제246호)

 

 

 

 

 

 

                고운사(孤雲寺) 연수전(延壽殿)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 444호

                소재지 :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116

                이 건물은 조선 영조(英祖)20년(1774)에 왕실의 계보를 적은 어첩(御牒)을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되었으며

                1887년 극락전 등 다른 전각들과 함께 중수 되었다.

                연수전의 구조는 만세문 현판이 걸린 소슬대문에 사방 담을 쌓고 가구식 기단에 겹처마 형식의 팔작 지붕이다.

                또 한 연수전은 평면 형태가 사찰의 여타 전각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취하고 있으며, 숭유억불시대에 사찰 내에 배치된

                왕실과 관련된 건물이라는 점이 이채롭다.

                임금의 장수를 기원하던 곳으로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건축형태와 벽화를 볼 수 있다.

 

 

 

연수전

 

 

 

 

 

 

 

 

 

 

 

 

 

 

 

 

 

 

 

 

 

 

 

 

종각

                                * 종각뒤로 가운루. 우화루가 있었지만 사진을 찍지 못하였다.

                                너무 늦은 시간에 도착하다보니 자세하게 둘러볼 기회도 없었고

                                겨우 대웅보전과 약사전만 들어갔다 나오면서 보이는대로 몇장 담아 보았다.

 

가운루 (駕雲樓)

최치원이 지었다고 우각이며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건축물 중의 하나로 꼽힌다. 계곡위로 돌기둥을 세 우고 그 위에 다시 나무기둥을 세워 건물을 지었다.

 

우화루 (羽花樓)

가운루와 마찬가지로 최치원이 세운 누각이다. 극락전 아래에서 법당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다.

 


 

           

 

 

 

 

 

 

 

 

 

 

 

 

 

 

 

 

 

고운사에 도착시간이 오후 4시 30분이었다

5시 출발하니까 부처님께 참배만하고 오라는 기사님의 말씀

마음이 바빠진다

비는 계속 내리고있었고, 어두워지기 시작을 하는데

어두침침한 날씨때문에 더 그런것 같다.

30분만에 대웅보전 들렸다 약사전 들렸다 바쁘게 보이는대로 몇장 담아 보았지만

기회가 된다면 다시 한번 방문하여 여유있게 둘러봐야 할것같다.

조계종 16교구본사인데도 불구하고 자세히 살펴보지 못하여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사찰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정사 (안동 천등산)  (0) 2011.12.01
부석사 (영주시 부석면)  (0) 2011.12.01
팔공산 관암사.  (0) 2011.01.16
팔공산관봉 석조약사불좌상  (0) 2011.01.14
풍경이 아름다운 북대암.  (0) 2010.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