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읍성 무봉사 다녀서 영남루로 왔다
영남루는 조선 후기 대표적인 누각이며, 진주 촉석루와 평양의 부벽루는 조선 3대 누각이었다고 한다
이제는 노후화가 되서 마루가 삐그덕 거리고 인원 제한 한다고 안내문이 붙어있어 불안불안 하였다
누각에 올라 밀양강을 내려보며 망중한을 즐기기 좋은 곳인데 여름이 아니고 겨울이다보니 앉아 보지 못하고
그냥 내려왔지만 오래전엔 여름에 가서 앉아 쉬었다 온적이 있다
밀양읍성동문~ 무봉사~ 영남루~ 밀양아리랑시장~ 밀양관아지~ 읍성동문주차장.
회기코스로 돌아 나가는 트래킹 이었다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누각건축.
보물 제147호. 원래 신라 법흥왕 때 세워진 영남사(嶺南寺)의 작은 누각 자리에 1365년(공민왕 14) 김주(金湊)가 창건한 것이다. 그후 여러 차례 소실과 재건이 거듭되었는데 밀양도호부의 객사 소속으로 된 것은 1611년(광해군 3) 객사를 영남루 북쪽에 새로 지으면서부터이다. 지금의 건물은 1844년(헌종 10)에 부사 이인재(李寅在)에 의해 마지막으로 재건된 것이다.
앞면 5칸, 옆면 4칸의 팔작지붕을 한 중층 누각으로 건물의 기둥이 높고 간격을 넓게 잡아 규모가 크고 당당한 느낌을 준다. 마루가 넓게 깔린 2층 평면은 내외진(內外陳)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위에 난간을 두르고 기둥 사이의 사면을 모두 개방했다. 공포는 익공양식의 건축으로는 가장 쇠서가 많은 3익공계이고, 천장은 지붕 밑이 그대로 보이는 연등천장에 겹처마 형식으로 처리해 꾸며졌다.
영남루의 동쪽에는 능파각(凌波閣), 서쪽에는 침류각(枕流閣)이라는 2채의 부속건물이 있는데 그 중 낮게 위치한 침류각은 3단계로 낮아지는 계단건물로 연결되어 있어 전체 외관에 변화와 조화를 추구한 점이 주목된다. 또한 '영남제일루'(嶺南第一樓)라고 편액된 누각답게 밀양강을 끼고 절벽 위에서 굽어보는 주변 경관이 뛰어나 진주의 촉석루(矗石樓), 평양의 부벽루와 함께 조선시대 3대 누각으로 불린다.
만덕문
천진궁
천징궁 앞 마당에 깔린 반석위에 세겨진 국화꽃 장미꽃 무늬의 돌꽃(석화)
영남루
영남루 현판
영남제일루
현판이 한때는 300개나 걸려있어 시문, 현판 전시장으로 불려지기도 했다.
걸어보니 마루가 삐그덕 삐그덕 거리는 노후된 누각이 되었다
누각에서 보는 풍경
침류각
능파각
영남루를 나와 우리는 밀양아리랑시장이 보여 들어가 본다
시장이 꽤 크다
골목이 여러개였어
나오다가 식혜 한병사고
오랜만에 식혜를 먹었더니 맛은 있는데 계속 갈증이 난다
갈증을 부르는 음료인가 ? ㅋㅋ
밀양읍성동문 주차장으로 가는길에 들른 '밀양관아' 응향문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348 (내일동)
근민헌
매죽당
'밀양 관아지' 안내문 사진으로 담아왔다
읽어보세요. ^^
집으로 오다가 우리동네 지나는데 석양빛이 예뻐서 한장 담아보고
즐거운 하루 를 마무리 한다. ^^
'여행 경상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도사 무풍한송로 걸으며 자장매 홍매 보고 온날 (7) | 2025.03.18 |
---|---|
울산 주전 몽돌해변 (20) | 2025.03.07 |
밀양읍성 동문 무봉사에 핀 매화꽃 (12) | 2025.02.28 |
함양 상림숲 늦가을 정취 (31) | 2024.11.29 |
지리산국립공원 추성리 서복솔숲 (38) | 2024.11.28 |